꾸준히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보이스 피싱.
지인도 보이스 피싱에 당한 적이 있어 이 주제에 대해 쓰고 싶었다.
이미 당했다면 큰 피해가 없이 지나갈 수 있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1. 카드 이용/계좌출금 정지
이 부분은 제일 먼저 체크를 해야 될 것이다.
사용하고 있는 카드와 계좌 출금을 모두 정지시키도록 한다.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은행 고객센터 등에 전화해서 정지 요청을 한다.
보통 고객센터로 전화하면 사고신고 접수는 바로 접수가 가능하니, 최대한 빨리 연락하도록 한다.
2. 휴대폰 초기화
휴대폰 초기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보통은 보이스 피싱을 당했다면 핸드폰에 원격 프로그램이 깔려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휴대폰 초기화로 범죄자가 원격으로 제어하지 못하도록 휴대폰을 초기화해야 한다.
3. 공동인증서 재발급, 소액결제 차단
사용중인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재발급을 통해
기존에 사용중인 공동인증서를 폐기시켜야 한다.
공동인증서 발급기관은 아래 6개 기관이 있으니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기관의 공동인증서를 재발급 받는다.
YESKEY (금융결제원) -> 바로가기
CrossCert (한국전자인증) -> 바로가기
KICA (한국정보인증) -> 바로가기
SignKorea (코스콤) -> 바로가기
TradeSign (한국무역정보통신) -> 바로가기
휴대폰 소액결제 차단 확인은 빠른 방법으로 각 통신사의 고객센터로 연락하여
소액결제가 있는지 확인해보거나
고개센터 연결이 불가하다면 각 통신사 사이트 마다 소액결제 항목에 대해 확인해보자 .
☎ 통신사 고객센터 : 국번없이 114
4. 신분증 재발급
신분증 재발급 또한 중요하다.
보이스 피싱을 당했을 때는 신분증을 요구한 경우가 대다수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범죄에 노출된 신분증을 폐기해버려야 한다.
가까운 주민센터로 가서 주민등록증을 재발급 하거나
가까운 경찰서로 가서 운전면허증을 재발급 받자.
5. 휴대폰 개통 여부 확인
신분증이 넘어갔다면 불법으로 사용하기 위한 휴대폰 개통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휴대폰 개통 여부 확인은 'M세이퍼' 를 통해 확인한다.
M세이퍼 ▼ ▼ ▼
Msafer 명의도용방지서비스
명의도용방지서비스 Msafer란? 전기통신서비스 부정 개통 예방 및 명의도용 피해방지를 위해 전기통신사업법(제32조의6)에 의해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대국민 무료 서비스 부정가입/명의도
www.msafer.or.kr
☎ 부정가입/명의도용 방지 상담센터 : 1670-1382
6. 계좌 개설 여부 확인
계좌 개설 여부 또한 중요한 체크사항이다.
신분증이 노출되었고, 원격 프로그램이 깔렸다면 계좌 개설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계좌 개설 여부 확인은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를 통해 확인한다.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www.payinfo.or.kr
7. 금융 정보 확인
금융 소비자 정보 포털에서 상담을 받을 수도 있다.
금융소비자 포털 ▼ ▼ ▼
금융소비자 포털 파인
금융소비자 포털 파인.
fine.fss.or.kr
8. 사이트 가입 확인
마지막으로 사이트 가입 확인을 해보자.
도용으로 사이트에 가입 여부는 'e프라이버시클린서비스' 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e프라이버시클린서비스 ▼ ▼ ▼
개인정보 포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의 처리와 보호에 관한 사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합의제 중앙행정기관입니다.
www.privacy.go.kr
보이스 피싱에 당했다면 위의 8가지 일 말고도 경찰에 신고도 필요하며,
은행에 직접 가서 확인할 일도 있으니 이점도 꼭 유의하길.
(피싱 피해로 대출이 잡혀 있을 수도 있으니 이런 일들은 직접 가서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보이스 피싱을 당하지 않는 것이 제일 좋지만
만약 당했더라도 빠른 조치사항으로 원상복구하면 되니 너무 걱정하지 말자.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