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관심

세련된 영작을 위한 그래머걸의 초간단 영문법 - Mignon Fogarty -

For freedom 2025. 3. 22. 11:26
728x90

그래머걸의 초간단 영문법

 

 

요즘 영어회화에 관심이 있다보니

 

자연스레 문법책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미국인이 쓴 문법책이라니 호기심에 책을 읽게 되었다. 

 

보통은 한국인들을 위한 한국 선생님이 쓴 문법책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폼은 비슷하다. 

 

새로운 폼을 경험하기 위해 책을 읽어보았다. 

 

책은 문법책 특유의 법칙처럼 딱딱하지 않았고 편하게 이야기하는 문체다. 

 

 


 

1. 조동사 may와 might의 미묘한 차이

may : 무슨일이 일어날 것 같을 때 쓴다. 
might : 무언가를 대단히 과장할 때 쓴다.

Squiggly may come over later. 스퀴글리는 나중에 올지도 모른다. 
Squiggly might win the lottery. 스퀴글리가 복권에 당첨될 수도 있다.  (61p)

 

2. that과 which의 정확환 구분법

that : 제한절 앞에 사용
which : 그밖에 사용

Gems that sparkle often elicit forgiveness. 빛나는 보석은 흔히 용서를 이끌어낸다. 

that sparkle 은 보석의 종류를 제한하고 있어요. 이것이 없으면 문장의 의미가 변하죠. 빛나는 보석이 아니라, 모든 보석이 용서를 이끌어낸다는 말이 되잖아요. (that sparkle 주쥐에 콤마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도 유의하세요.)

Diamonds, which are expensive, often elicit forgiveness. 다이아몬드는 값이 비싸고, 흔히 용서를 이끌어낸다. 

다이아몬드가 늘 비싸므로 which are expensive를 빼더라도 문장의 의미가 변하지 않아요. 이 구가 콤마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도 유의하세요. (67p)

 

3. 주어가 누울 땐 lie, 목적어를 놓을 땐 lay

Lie down on the sofa! 소파에 누워라!
Lay down your pencil! 연필을 내려놓아라!

 

4. 문장 접착제 세미콜론

세미콜론은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요. 가장 일반적으로, 세미콜론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두 개의 주절을 분리하지만, 우리가 원한다면 그 주절들을 문장으로 홀로 설 수도 있어요. 그래서 저는 세미콜론이 문장 접착제라고 생각해요. 세미콜론은 문장을 이어주니까요. 

It was below zero; Squiggly wondered if he would freeze to death. 기온이 영하인지라 스퀴글리는 자신이 얼어죽지 않을까 생각했다. 

마침표 대신 세미콜론을 선택하는 한 가지 이유는 문장구조에 다양함을 더 하고 싶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짤짤막한 문장을 연속으로 너무 많이 썼다고 생각되면 세미콜론으로 두개의 주절을 이어 하나의 긴 문장으로 만듦으로써 다양함을 더할 수 있죠. 하지만 세미콜론을 쓸 때 그 주절들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어야 해요. (134p)

마지막으로, 접속부사를 이용해 두 주절을 연결할 때 세미콜론을 써요. 접속부사는 however, therefore, indeed 같은 단어들인데, 두 주절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역할을 하지요. 

Aardvark is on vacation; therefore, Squiggly has to do extra work in this chapter. 
아드박은 휴가 중이다. 그래서 스퀴글리는 이번 장에서 일을 더 많이 해야 한다. 

등위접속사에는 콤마를 사용하고 접속부사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한다는 것을 기억하기 어려울 때가 있어요. (135p)

 

5. 기대 혹은 추가의 부호 콜론

콜론은 제목, 비율, 그리고 시각 표시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쓸수 있어요. 하지만 문장에서 코론을 사요할 때는 완전한 문장을 이루는 서술문 뒤에서만 써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절대로 미완성 문장 뒤에 콜론을 사용하면 안돼요. 

Squiggly has two favorite Thanksgiving dishes: stuffing and green-bean casserole. 스퀴글리가 좋아하는 추수감사절 음식은 두가지다. 내장 요리와 깍지콩 캐서롤이다. 
-> 올바른 문장
(136p)

 

 

6. 혼란을 피하려면 하이픈 나라로 오세요

하이픈(-)은 글줄이 바뀌는 위치에 있는 단어를 나누는 데 쓰기도 하지만 복합어를 잇는 데 쓰기도 해요. (142p)

아주 일반적인 의미에서, 하이픈을 쓰는 목적은 혼란을 피하는 데 있어요. 예를 들어 두 개의 형용사가 하나의 명사를 수식하면 그 문장이 두 가지 의미로 읽히거나 읽는 사람에게 혼란을 줄 때가 있어요. 하지만 하이픈을 사용하면 어떤 단어들이 함께 묶이는지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지요. 

Squiggly wanted a shoert haired dog. (스퀴글리가 털이 많은 키 작은 개를 원했다는 뜻으로 읽히기도 해요.)
Squiggly wanted a short-haired dog. (스퀴글리가 짧은 털을 가진 개를 원한다는 의미가 더 분명하게 드러나지요.)
(143p)

 

 

7. 쓰임새가 많아 헷갈리지만 콤마에도 규칙이 있다

사람들이 가장 자주 물어보는 콤마가 시리얼콤마예요. 항목을 나열할 때 마지막 접속사 앞에 오는 콤마 말잉요. 다음 문장은 시리얼콤마를 사용하고 있어요. 

Aardvark and Squiggly love chocolate, hiking, and fishing. 아드박과 스퀴글리는 초콜릿, 하이킹, 그리고 낚시를 좋아한다.

시리얼콤마의 사용 여부는 스타일의 문제예요. 그래서 아주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지요. (146p)

Aardvark and Squiggly love chocolate, hiking and fishing. 

이 문장은 시리얼콤마를 쓰지 않았지만 헷갈릴 일이 전혀 없어요. 시리얼콤마의 사용을 반대하는 쪽은 대부분의 경우 시리얼콤마를 생략하더라도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주장해요. (146p)
콤마의 가장 흔한 쓰임새 가운데 하나는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두 개의 주절을 분리하는 일이에요. 홀로 문장이 될 수 있는 두 부분을 and, but, or 같은 접속사로 연결할 때 보통 그 접속사 앞에는 콤마가 있어야 해요. 

Squiggly ran to the forest, and Aardvark chased the peeves. 

Squiggly rant to the forest는 완전한 문장이고, Aardvark chased the peeves 역시 완전한 문장이에요. 이 두부분을 콤마로 이어주려면 and 혹은 다른 등위접속사가 필요해요. 
대부분의 경우, 콤마를 사용하려면 문장의 두 번째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 명사가 있어야 해요. 예를 들어 다음 문자에서 콤마가 잘목된 것은 그 뒤에 명사가 없기 때문이지요. 

Squiggly ran tot eh forest, and chased the peeves (틀려요.) 

위와 같은 문장에서 콤마를 쓰게 되는 유일한 경우는, 문장의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이 선명한 대조를 이룰 때랍니다. 

Squiggly cowered under a rock, but felt brave. (대조 때문에 콤마가 허용돼요) 스퀴글리는 바위 밑에 움츠렸지만 용기가 났다. (150p)

 


 

 

미국 스타일대로 쓴 책이라 그런지 ooo 법칙 이런식의 책은 아니었다. 

 

책을 읽다가 특히 도움이 되는 부분은 문장 부호 쪽이었다. 

 

세미콜론이나 콜론과 같은 쪽은 사실 한국책에서는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운 타입의 책을 읽어서 신기하고 또 배운것도 있어서 잘 읽은 것 같다.